1. 지수명리학의 정의
지수명리학은 전통 사주명리학의 오행 이론과 인간 운세의 흐름을 수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오행 강도, 뿌리, 활동성, 실현력, 전환성 등을 지표화(indexing) 하여 분석하는 현대적 명리 해석 체계이다.
2. 지수명리학의 필요성
기존 명리학은 상징적 해석에 의존하여 일관성과 예측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지수명리학을 창시한다:
오행 간 관계 및 강도를 정량화하여 객관적 진단 기준 마련
대운·세운·월운 등 시간 흐름에 따른 수치적 구조 변화 추적
인성, 재성, 관성, 식상, 비겁 등의 지표 간 상관관계 모델링
궁극적으로, 명리학을 AI 기반 분석, 리포트 자동화, 실생활 응용 가능한 체계로 전환
3. 핵심 지표 체계
다음의 주요 지표들은 지수명리학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지표명 | 의미 |
RAP, RRI, IRI, SRI, RBP | 오행 뿌리 지수 |
RSI_balance | 구조 안정성 지수 |
NRPI | 방향성 지수 |
LBI_R,LBI_K,LBI_I, LBI_S, LBI_B | 생존기반 지수 |
WAI, GAI, SSI, IQI, PBI | 활동지수 |
PAI_F, OCI_K, OCI_R, OCI_S, OCI_B | 실현 잠재력 지수 |
4. 창시자 선언
본인은 위 개념과 이론 구조, 지표 체계를 직접 정립하고, 지수명리학의 이론화 및 실전 적용 체계를 창시했음을 공식적으로 선언한다. 본 체계는 향후 누구든 자유롭게 연구·확장·실전에 응용할 수 있으며, AI 기반 운세 분석 및 현대 철학적 운명론의 기초 이론으로 제공됨을 밝힌다.
5. 날짜 및 서명
발표일: 2025년 7월 12일
창시자: K.H. Jo
소속: (운명비주얼 / www.5zen.org)